|
번호 |
제목 |
|
|
|
1188 |
박한수기자 11-16 1197 - 신소재공학과 장재범, 김일두 교수 연구팀, 세포외 기질 내의 특정 단백질 구조체를 모방해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금속 필름 제작 성공- 기존 생체 형틀법의 활용 범주를 넓혀 전기화학 촉매 반응이나 수소 감지 센서로 활용 가능성 기대 ▲어드밴…
|
|
1187 |
권기산 기자 11-16 395 - 「케이(K)-상표(브랜드) 지식재산권 보호 설명회」 개최(11.23) -- 특허청, 해외 지재권 보호 지원사업 및 우수 대응사례 소개 - 특허청(청장 이인실)은 관세청(청장 고광효)과 11월 23일(목) 14시 서울본부세관(서울 강남구)에서 「케이(…
|
|
1186 |
권기산 기자 11-09 526 - 케이(K)-상표(브랜드) 위조상품 피해빈발 5개 협‧단체와 업무협약 체결(11.8) - - 케이(K)-음식(푸드) 위조상품 공동대응 성공사례 공유 및 타 업종 확산 추진 -케이(K)-상표(브랜드) 위조상품에 민관이 함께 적극 대응하기 위한 「케이(K)-상표…
|
|
1185 |
권기산 기자 11-08 377 - 특허청-인니 지식재산청(DGIP) 간 지재권침해 단속 정보공유 및 업무협력 확대 -- 인니 진출기업 지재권침해, 인니 지식재산청에서 신속한 단속 및 분쟁해결 가능 -# 인도네시아는 천연자원 부국임과 동시에 2억 7천만명의 인구를 보유한 거대한 시장으로 우리 소비재 …
|
|
1184 |
권기산 기자 11-07 402 -생명화학공학과 이진우 교수팀, 국민대, 서강대와 공동연구를 통한 고 전력밀도의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(PEMFC) 용 비 백금계 Fe-N-C 촉매 개발- 매우 뛰어난 가격 경쟁력과 전기화학적 성능으로 기존 백금계 촉매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 연료전지는 부산…
|
|
1183 |
권기산 기자 11-06 405 -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교수팀, 포스트 AI 시대의 핵심 신소재로 스마트 섬유, 인공근육, 단일원자촉매 제시 - 인공지능이 이끄는 4차 산업혁명 이후의 포스트 AI 시대는 신소재 기반의 사물 혁신이 주도할 것 KAIST(총장 이광형)는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…
|
|
1182 |
박한수기자 11-01 466 - 기계공학과/KI헬스사이언스연구소 오왕열 교수 연구팀, 세계 최초로 복잡한 3차원 혈관구조 안에서 흐르는 혈구들을 아무런 조영제 사용 없이 고속으로 초당 1,450장 이미징하는 기술 개발- 흐르는 혈구들을 높은 시간해상도로 이미징함으로써 3차원 조직 안의 여러 혈관에…
|
|
1181 |
권기산 기자 09-15 1134 - 직조 구조를 모방한 소프트 로봇 그리퍼 개발- 소프트 로봇 그리퍼의 우수한 성능·경제성·공정 효율성 모두 확보 [그림 1] 직조 구조의 그리퍼 구상도 [그림 2] 그리퍼의 동작 모습 및 성능 [그림 3] 직…
|
|
1180 |
권기산 기자 09-14 1131 - 산업디자인학과 이우훈 교수팀, 신개념 기계식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<Time to Snow>라는 미디어아트 작품을 제작함. 작품을 통해 시간이 흐르면 눈이 쌓이고 스러지듯 눈과 시간의 한시성을 중첩하여 표현- 2023년 8월 6~11일…
|
|
1179 |
권기산 기자 09-13 1146 - KAIST 유승협 교수-서울아산병원 박도현 교수-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동연구팀, 세계 최초 체내 삽입형 OLED 기반 카테터 플랫폼 구현 - 비외과적, 비약물적 방법인 광 생물변조 원리를 바탕으로, 제2형 당뇨병에 따른 고혈당 수치의 개선 및 인슐린 저항성 감소 가능…
|
|
1178 |
권기산 기자 09-12 1159 - 특허청 통계 발표...4차 산업혁명 기술 특허출원 10년간 연평균 14.7% 성장 --인공지능 기술이 출원량 1위(27.2%)...4차 산업혁명 기술 성장 주도 -- 합기술 출원, 연평균 37.8%로 급성장...인공지능+디지털 건강관리 대세 -<&nb…
|
|
1177 |
권기산 기자 09-11 1146 - AI 모델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사업화 시동 ▲‘신약 후보물질 정보 생성 장치’ 특허증(특허 번호 제 10-2566459) 미디어젠이 KISTI(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)와 함께 빅데이터/인공지능(AI)과 계산과학을 …
|
|
1176 |
권기산 기자 09-04 1262 - 업계 최고 99.8% 효율, 물리적 차단 방식으로 지속적 성능 유지 - 자체 기술로 개발한 나노급 ePTFE 설비 통해 생산 - 프리미엄 마스크, 특수 방진복, 고성능 차량 필터 등 신제품 지속 개발 - 첨단 반도체용 나노급 ePTFE 필터 연내 개발…
|
|
1175 |
권기산 기자 09-01 1297 ▲삼성전자, 현존 최대 용량 32Gb DDR5 D램 개발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 12나노급 32GB(기가비트) DDR5 D램을 개발했다. 32DB는 D램 단일 칩 기준으로 역대 최대 용량이다. 1983년 64Kb(킬로 비트) D램을 …
|
|
1174 |
권기산 기자 08-31 1319 ▲저온 경화 공정을 통과한 제네시스 G80 차체 현대자동차가 자동차 도장 공정에서 에너지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여 탄소배출 저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도장 기술을 공개했다.자동차 도장 공정은 크게 △전처리 △하도도장 △중…
|
|